2025년 8월 11일부터 소상공인크레디트 사용처가 통신비와 차량 연료비까지 확대되었습니다. 기존 사용처, 확대된 항목, 주의사항, 불인정 사례, 실무 팁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해 제공되는 소상공인크레디트가 2025년 8월 11일부터 더 넓게 쓸 수 있게 됐습니다.
기존에는 전기·가스·수도요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공과금과 4대 보험료에만 쓸 수 있었는데, 이번에 통신비와 차량 연료비까지 포함되면서 혜택 폭이 커졌습니다.
오늘은 확대된 사용처, 사용 방법, 주의할 점, 불인정 사례, 실무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특히 “차량 명의가 내 이름이 아니어도 쓸 수 있나?”, “통신비는 어디까지 가능하나?”와 같은 실무에서 자주 나오는 질문도 함께 안내합니다.
📚 목차
- 📌 소상공인크레디트 기본 개요
- 🆕 2025년 8월 11일부터 확대된 사용처
- 🚗 차량 연료비 사용 방법
- 📞 통신비 사용 방법
- ⚠ 불인정·제외 항목
- 💡 실무 팁
- ❓ 자주 묻는 질문(FAQ)
- 📊 기존 vs 변경 비교표
📌 1. 소상공인크레디트 기본 개요
- 지원대상: 정부·지자체가 정한 소상공인 요건 충족자
- 형태: 전용 카드에 정책지원 한도가 충전
- 기존 사용처: 전기, 가스, 수도요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 목적: 경영 필수 비용을 카드 결제로 부담 완화
🆕 2. 2025년 8월 11일부터 확대된 사용처
- 통신비: 유선전화, 무선전화, 인터넷 요금
- 차량 연료비: 휘발유, 경유, LPG, 수소, 전기 충전 등 연료 종류 제한 없음
- 이번 확대는 정책지원 항목에 추가된 것이므로, 반드시 정책지원금이 지급된 카드로 결제해야 함
🚗 3. 차량 연료비 사용 방법
- 차량 명의가 본인 또는 사업자가 아니어도 가능
- 결제 시 소상공인크레디트 등록 카드로 주유소, 전기·수소·가스 충전소 등 MCC 코드가 연료 판매업으로 등록된 가맹점에서 사용
- 사업 관련 사용이 원칙 → 개인적 사용은 지양
📞 4. 통신비 사용 방법
- 유선·무선 전화요금, 인터넷 요금 모두 가능
- 자동이체를 소상공인크레디트 카드로 변경하면 매달 자동 차감
- 단, 휴대폰 단말기 대금, 액세서리, 소액결제 등은 불가
⚠ 5. 불인정·제외 항목
- 통신비: 단말기 할부금, 액세서리, 알뜰폰 일부 사업자(미가맹)
- 연료비: 마트·편의점 주유코너(비가맹), 선불유류카드 구매, 차량 용품 구매, 세차비
- 가맹점 MCC 코드가 정책지원 업종과 불일치하면 인정 불가
💡 6. 실무 팁
- 가맹점 코드 확인: 주유 전, 해당 주유소·충전소가 연료 판매업 코드인지 확인
- 통신비 자동이체 등록: 매달 자동 차감되게 설정
- 한도 관리: 정책지원금과 일반 한도를 구분해 사용
- 소진 현황 확인: 카드사 앱·홈페이지에서 즉시 확인 가능
- 업종 외 사용 주의: 정책지원 항목 외 결제 시 일반 한도에서 차감됨
❓ 7. 자주 묻는 질문(FAQ)
- Q: 차량 명의가 가족 명의인데 사용 가능한가요?
→ 네, 가능합니다. 카드 명의자가 소상공인크레디트 등록자면 사용 가능 - Q: 주유와 세차를 같이 결제하면 되나요?
→ 세차비는 불인정, 주유 금액만 정책지원 한도에서 차감 - Q: 알뜰폰 요금제도 가능한가요?
→ 일부 사업자만 가능, 반드시 가맹 여부 확인 필요
📊 8. 기존 vs 변경 비교표
구분 | 기존 | 변경 (2025.8.11~) |
공과금 | 전기, 가스, 수도요금 | 동일 |
4대보험료 | 국민·건강·고용·산재보험 | 동일 |
신규항목 | 없음 | 통신비, 연료비(휘발유·경유·LPG·수소·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