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수급 중 유튜브 활동이 가능한지, 수익이 생기면 어떤 조치가 필요한지, 부정수급이 되지 않으려면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알려드립니다. 유튜브를 배우려는 시니어 분들도 꼭 확인하세요!
“나이도 있고 취업은 어렵고… 유튜브라도 배워볼까 했는데, 실업급여랑 충돌되면 어쩌죠?”
요즘은 50~70대 시니어 분들도 스마트폰 하나로 유튜브를 배우고 계십니다. 그런데 실업급여를 받고 있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걱정하실 겁니다.
‘영상 하나 올렸다고 문제가 되진 않을까?’
‘조금이라도 수익 생기면 다 토해내야 하나?’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수급 중 유튜브 활동에 대해 꼭 알아야 할 내용과, 문제가 되지 않기 위한 주의사항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 목차
- 실업급여 중 유튜브 ‘배우는 것’은 문제없습니다.
- 유튜브 수익이 생기려면 어떤 조건이 있을까요?
- 수익이 생기면 꼭 신고해야 합니다.
- 이런 경우는 ‘문제없음’
- 사업자등록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 실업급여 종료 후 수익이 생겼다면?
- 마무리 요약 – 실업급여 중 유튜브 활동, 안전하게 하려면
✅ 1. 실업급여 중 유튜브 ‘배우는 것’은 문제없습니다
유튜브를 취미나 자기 계발 목적으로 배우는 것은 직업훈련의 일환으로 간주되어 전혀 문제 되지 않습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경우는 실업급여 수급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유튜브 편집 강의를 듣는 경우
- 동영상 올리는 방법만 배우는 경우
- 광고수익 설정을 하지 않고 연습용으로만 채널을 운영하는 경우
👉 팁: 영상은 ‘비공개’ 또는 ‘미등록’ 상태로 올리면 더 안전합니다.
✅ 2. 유튜브 수익이 생기는 조건
유튜브 채널에 수익이 생기려면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구독자 1,000명 이상
- 최근 12개월간 시청시간 4,000시간 이상
- 광고수익 설정(Monetization) 신청 후 승인
즉, 처음 배우는 단계에서 영상 1~2개 올렸다고 바로 수익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 3. 수익이 생기면? 꼭 신고해야 합니다
유튜브에서 수익이 발생하면 그때부터는 ‘사업소득’으로 간주됩니다. 이 경우 고용센터에 자진 신고해야 하며, 실업급여 지급이 중단되거나 조정될 수 있습니다.
💡 만약 수익이 발생했는데 신고하지 않고 계속 수급을 받으면,
→ 부정수급으로 판정되어 전액 환수 + 최대 5배 제재금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4. 이런 경우는 ‘문제없음’
다음과 같은 사례는 실업급여 수급에 영향 없습니다.
- 영상은 올렸지만 비공개로 설정하고, 수익설정은 하지 않은 경우
- 광고수익이 발생하지 않았고, 사업자등록도 하지 않은 경우
- 유튜브 강의를 수강하며 개인 계정으로 실습만 하는 경우
✅ 5. 창업 또는 사업자등록은 주의
유튜브 활동을 본격적으로 하려고 사업자등록을 하면, ‘자영업자’로 간주되어 실업급여 수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고용센터에 창업활동 신고를 하면 일부 예외로 인정받을 수는 있지만,
복잡한 절차와 소득 증빙이 필요하므로 가급적 수익이 생기기 전까지는 사업자 등록을 미루는 것이 안전합니다.
✅ 6. 실업급여 수급 후 수익이 생긴다면?
실업급여 종료 후에 유튜브 수익이 발생한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단, 언제 수익이 발생했는지 기록을 남겨 두는 것이 좋습니다. (예: 애드센스 수익 입금일 기준 등)
🔹 마무리 요약
구분 | 가능한가요 | 주의할 점 |
유튜브 배우기 | ✅ 가능 | 수익 없으면 문제 없음 |
비공개 영상 올리기 | ✅ 가능 | 수익설정 안 하면 OK |
수익 발생 | ⚠️ 신고 필수 | 미신고 시 부정수급 |
사업자 등록 | ⚠️ 제한 가능 | 창업신고 요망 |
종료 후 수익 | ✅ 가능 | 발생 시점만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