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끝까지 낼까 말까 계산해봤습니다. 미납금에 5년 더 납부해야하는 경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민연금, 끝까지 낼까 말까 계산해봤습니다. 미납금에 5년 더 납부해야하는 경우..

by 와일드인포 2025. 7. 29.

국민연금 미납 기간이 있거나, 앞으로 몇 년만 더 내면 연금 수령이 가능하다면? 매달 9만~10만 원씩 5년 정도 더 내고, 65세부터 평생 매달 18만 원 정도 받는 구조라면 어떤 선택이 현명할까요? 국민연금 수익률과 기초연금 병행 수령 가능성까지 종합 분석해 드립니다.

 

“국민연금, 지금이라도 계속 내는 게 나을까요?”
많은 분들이 50대 후반이나 60세 전후가 되면 한 번쯤 고민하게 되는 질문입니다.
이미 납부 기간이 일부 쌓여 있거나, 과거에 잠시 중단했던 국민연금을
이제 와서 다시 내야 할지 망설이게 되죠.

특히 “미납금도  150만 원이 있고, 앞으로 4~5년 더 납부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이 나이에 무슨 연금이야’, ‘그 돈으로 차라리 은행에 넣자’는 생각도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국민연금은 단순히 넣고 빼는 적금이 아니라,
65세 이후를 책임질 ‘평생 월급 구조’라는 점입니다.
소액을 내고도 평생 동안 연금을 받는 구조라면,
단순 계산 이상의 **“장기 혜택”**이 존재하는 것이죠.

그렇다면 실제로 납부를 다시 시작하고 5년간 유지했을 때,
매달 18만 원 정도의 연금을 받는 구조가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선택인지
실제 수치를 기준으로 천천히 따져보겠습니다.

 

목차

  1. 일반적인 시나리오 가정
  2. 납부 총액 vs 수령 예상액
  3. 국민연금 vs 적금·보험 수익률 비교
  4. 기초연금과의 병행 수령 가능성
  5. 장수 리스크에 강한 ‘국민연금 시뮬레이션’
  6. 부부가 함께 수령할 때의 시너지 효과
  7. 실천을 위한 체크리스트

✅1. 일반적인 시나리오 가정

다음은 지역가입자 또는 자영업자 기준의 일반적인 예시입니다.

  • 국민연금 일부 기간 납부 → 현재 납입 기간 8년
  • 앞으로 5년만 더 납부하면 수급 요건(10년 이상 충족) 달성
  • 납입 중단된 기간의 미납금 약 150만 원 존재
  • 현재 나이: 59세
  • 납부 재개 후 65세부터 연금 수령 가능
  • 예상 월 연금 수령액: 약 18만 원

✅2. 납부 총액 vs 수령 예상액

  • 월 납부금(예시): 9만 5천 원
  • 5년간 납부 총액: 9.5만 원 × 60개월 = 570만 원
  • 미납금 150만 원 포함 → 총 납부액 약 720만 원

연금 수령액은 월 18만 원으로 가정하면,

  • 1년 수령액: 18만 원 × 12개월 = 216만 원
  • 3년 4개월 수령하면 원금 회수
  • 이후부터는 모두 ‘순이익’

✅3. 국민연금 vs 적금·보험 수익률 비교


항목 예상 수익률 특징
국민연금 5~7% (복리환산 기준) 종신 지급, 물가 반영, 국가 보장
정기적금 3% 전후 만기 이후 원금만 남음
연금보험 2~4%, 수수료 존재 일정 기간만 지급, 해지 불이익 있음
 

국민연금은 ‘평생 받는 구조’ 덕분에 수익률이 훨씬 높습니다.
→ 장기 생존 시, 민간 금융상품과의 차이는 더욱 커집니다.


✅4. 기초연금과의 병행 수령 가능성

기초연금은 65세 이상 저소득층 노인에게 지급되는 국가 지원금입니다.
많은 분들이 “국민연금 받으면 기초연금 못 받는 거 아닌가요?”라고 걱정하시지만, 꼭 그렇진 않습니다.

  • 국민연금 수령액이 월 20만 원 이하라면
    → 기초연금 전액 수령(감액 거의 없음)
  • 월 30만 원 이상일 경우 일부 감액 가능성 있음

월 18만 원 정도 받는 수준이면
👉 기초연금(최대 월 32만 원)과 함께 수령 가능성 높음


 

✅5. 장수 리스크에 강한 ‘국민연금 시뮬레이션’

월 18만 원 수령 기준, 다음은 수령 누적액 시뮬레이션입니다.


수령 연령 누적 수령액
70세 1,080만 원
75세 2,160만 원
80세 3,240만 원
85세 4,320만 원
90세 5,400만 원
 

총 납부 720만 원 → 3년이면 회수
80세까지 살면 4배, 90세면 7배 이상 수령
→ 물가상승률까지 반영되므로 구매력도 보전됨


✅6. 부부가 함께 수령할 때의 시너지 효과

남편과 아내 모두 국민연금을 5년 더 납부해 수령하게 될 경우:

  • 각자 월 18만 원 → 합산 36만 원
  • 기초연금도 부부합산 최대 64만 원 수령 가능
    → 월 100만 원 내외의 평생 안정적 소득 구조 확보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립적인 노후생활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7. 실천을 위한 체크리스트

✔️ [ ] 미납 기간 확인 및 추후 납부 계획 세웠나요?
✔️ [ ] 국민연금공단에 예상 연금액 상담해 보셨나요?
✔️ [ ] 향후 5년 납부 부담 가능한 금액인지 계산하셨나요?
✔️ [ ] 기초연금과 병행 수령 조건에 해당되나요?
✔️ [ ] 배우자도 국민연금 가입 여부 확인하셨나요?
✔️ [ ] 정기적금·연금보험보다 유리한지 비교해 보셨나요?


✅마무리 요약

국민연금은 목돈 마련형 상품이 아닌, 평생 월급 구조의 노후보험입니다.
5년간 700만 원 남짓 납부하고, 65세부터 월 18만 원씩 평생 지급되는 구조라면…

  • 빠르면 3년 내 원금 회수
  • 80세 넘으면 수천만 원 규모 이득
  • 기초연금과 병행 시 총 월 50만 원 이상 가능
  • 타 금융상품 대비 수익률, 안정성, 지속성에서 월등

✅ 결론: 지금 납부하고, 65세부터 ‘내 인생의 월급날’을 만드세요.
국민연금은 내가 오래 살수록 더 이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