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장근무 수당 계산하는 진짜 기준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장근무 수당 계산하는 진짜 기준은?

by 와일드인포 2025. 7. 3.

알바나 단기근무 후 연장수당 제대로 받았는지 확인해 보셨나요?
시급 1.5배가 적용되는 기준, 연장근무 20분도 수당을 줘야 하는 이유, 실수령액 계산까지 실제 사례 없이도 쉽게 알려드립니다.

 

 

 


✅ 목차

  1. 연장근무 수당, 왜 ‘1.5배’인가요?
  2. 최저시급이 아니라 ‘내 시급’이 기준입니다
  3. 연장근무 20분, 수당 받을 수 있을까?
  4. 연장수당, 간단하게 계산하는 법
  5. 실수령액이 맞는지 확인하는 법
  6. 연장수당 누락되지 않으려면 꼭 체크하세요

 

✅1. 연장근무 수당, 왜 ‘1.5배’인가요?

근로기준법에서는 하루 8시간, 주 40시간 초과 근무 시
통상시급의 1.5배를 추가로 지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건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예: 시급 10,000원 → 연장근무 시 15,000원 지급해야 함


✅2. 최저시급이 아니라 ‘내 시급’이 기준입니다

많은 분들이 연장수당을 최저시급 기준으로 계산받고 있지만,
법적으로는 반드시 본인의 통상시급을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 통상시급이란?
→ 내가 실제 받는 일급 ÷ 하루 근무시간

예를 들어 하루에 8시간 근무하고 일급 96,000원을 받는다면,
통상시급은 12,000원입니다.
이 시급이 연장수당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3. 연장근무 20분, 수당 받을 수 있을까?

네,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근로시간은 1분 단위까지 정확히 계산하는 게 원칙입니다.
10분이든, 20분이든, 연장근무를 했다면
그 시간만큼 수당을 지급받아야 합니다.

💬 “30분 이상이어야 수당 준다”는 말은 근거 없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4. 연장수당, 간단하게 계산하는 법

연장수당 계산은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다음 3단계만 기억하세요:

 

1️⃣ 내 통상시급 구하기
→ 일급 ÷ 근무시간 (보통 8시간)

2️⃣ 연장수당 구하기
→ 통상시급 × 1.5배 × 연장근무 시간

3️⃣ 전체 급여 확인
→ 기본 일급 + 연장수당 – 고용보험 공제

📌 이 계산만으로 받아야 할 실수령액을 대략 예측할 수 있어요.
의심된다면 급여명세서를 꼭 요청해 확인해보세요!


✅5. 실수령액이 맞는지 확인하는 법

다음 3가지만 확인해 보면 됩니다:

▪️ 내가 실제 받은 일급과 근무시간 → 통상시급 확인
▪️ 연장근무 시간 × 통상시급 × 1.5 = 연장수당
▪️ 고용보험(0.9%)만 공제됐다면 실수령액 대략 계산 가능

급여명세서 없이도, 이 3단계 계산만으로 실수령액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6. 연장수당 누락되지 않으려면 꼭 체크하세요

☑ 1분이라도 일했다면 연장근무 시간으로 인정
☑ 최저시급 아닌 실제 통상시급으로 계산해야 함
급여명세서 요구는 근로자의 권리
☑ 수당이 누락됐거나 설명이 부족할 경우, 고용노동부에 문의 또는 진정 가능

단기근무자, 아르바이트생, 계약직이라도
일한 시간만큼 정당하게 받는 것, 그게 바로 법이 보호하는 권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