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야간수당, 최저시급… 제대로 몰랐다간 월급이 줄어든다!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휴수당, 야간수당, 최저시급… 제대로 몰랐다간 월급이 줄어든다!

by 와일드인포 2025. 7. 11.

“주휴수당 포함 시급”,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알바나 단기근로를 시작하기 전 꼭 알아야 할 수당 3종의 정의와 지급 조건 정리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휴수당·야간수당·최저시급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급여 항목을 중심으로,
누가 받을 수 있고, 어떻게 계산되는지, 그리고 아르바이트생이 꼭 확인해야 할 포인트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  목차 

  1. 주휴수당·야간수당·최저시급, 이게 뭔가요?
  2.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지급 조건은?
  3. 5인 미만 사업장이라도 수당 못 받는 건 아닐까?
  4. 아르바이트생이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5. 마무리

 

✅1. 주휴수당·야간수당·최저시급, 이게 뭔가요?


항목 의미 간단 설명
주휴수당 유급휴일 수당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정해진 요일에 빠짐없이 일했을 때, 하루치 급여를 추가로 받는 것
야간수당 심야근로 수당 밤 10시~다음 날 새벽 6시 사이 일한 경우, 시급의 1.5배를 적용해 주는 수당
최저시급 법으로 정한 시급 하한선 2025년 기준 9,860원. 이보다 낮게 줄 수 없음. 주휴수당 포함 시 실질 시급은 약 11,500원 수준
 

2.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지급 조건은?


수당 지급 조건 적용 대상
주휴수당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소정근로일 개근 모든 근로자 (1인 사업장도 포함)
야간수당 밤 10시~새벽 6시 근무 5인 이상 사업장에만 의무 적용
연장수당 1일 8시간 초과 or 주 40시간 초과 근무 5인 이상 사업장에만 의무 적용
 

💡 참고: 5인 미만 사업장은 근로기준법 일부 조항이 적용되지 않아 야간수당·연장수당은 법적 의무가 없습니다.
하지만 계약서나 문자에 명시된 경우는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3. 5인 미만 사업장이라도 수당 못 받는 건 아닐까?

▪️법적으론 야간·연장수당 의무 없음
→ 근로기준법 제56조(가산임금)는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에만 적용됨

▪️하지만 주휴수당은 무조건 줘야 함
→ 1인 사업장도 포함됨

▪️계약서에 명시된 수당은 반드시 지급
→ 사업장 규모와 무관하게, ‘약속한 내용’은 지켜야 할 법적 의무


✅4. 아르바이트생이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시급에 주휴수당 포함 여부 확인
 ▪️시급에 야간수당 포함 여부 확인
 ▪️ 근로계약서 작성 여부 확인 (필수)
 ▪️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주휴수당 계산 여부 확인
 ▪️ 임금명세서 교부 여부 확인 (2021년부터 의무화)


✅ 마무리

“시급에 포함돼 있다”는 말,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주휴수당과 야간수당은 조건과 지급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무턱대고 ‘포함’이라고 말하면 불법에 해당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아르바이트생, 단기근로자일수록 자신의 시급이 정확히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
그리고 받을 수 있는 수당이 누락된 건 아닌지 꼭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