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 사법부인가? 헷갈리는 이유와 확실한 구분법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헌법재판소, 사법부인가? 헷갈리는 이유와 확실한 구분법

by 와일드인포 2025. 7. 7.

“헌법재판소는 사법부에 속하나요?”―많은 사람이 헷갈리는 이 질문을 헌법 조문·생활 속 사례·OX 퀴즈로 풀어봅니다. 헌재‧대법원 차이를 한눈에 정리!

 

 

 

✅목차

  1. 왜 이렇게 자주 헷갈릴까?
  2. 헌법 속 자리 : 헌법재판소와 법원은 어떻게 다를까
  3. 헌법재판소가 다루는 사건, 실제 예시로 이해하기
  4. ‘사법권’이란 무엇인가? ― 헌재가 “사법에 가깝다”는 말의 뜻
  5. 핵심 용어 4줄 요약 : 재판관·판사·위헌법률심판 등
  6. 1분 OX 퀴즈 : 헌법·공무원 시험 대비 포인트
  7. 한 줄 정리 & 참고 자료

✅1. 왜 이렇게 자주 헷갈릴까?

  • ‘재판소’라는 이름 때문입니다. ‘대법원’처럼 ‘헌법재판소’도 재판을 한다고 생각하기 쉽죠.
  • **‘재판관’**이라는 생소한 직함도 혼란을 줍니다. 판사 같지만 헌법 전문성을 가진 별도 신분입니다.
  • 뉴스에서 대통령 탄핵·검수완박법 같이 굵직한 사건을 다룰 때 헌재가 등장하면서 “왜 대법원이 아니라 헌재지?” 하는 의문이 자주 생깁니다.

✅2. 헌법 속 자리 — 헌법재판소와 법원은 어떻게 다를까?


비교 항목 헌법재판소 법원(대법원 포함)
헌법 조항 헌법 제111조 헌법 제101조
설치 근거 독립된 헌법기관 사법부
담당 영역 위헌법률심판, 탄핵심판, 정당해산심판, 권한쟁의, 헌법소원 민사·형사·행정소송 등 일반 분쟁
최종심 기능 헌법사건 최종심 일반 사건 최종심
심판 성격 헌법 질서 수호 → 사법 기능과 유사 사법권 행사
 

정리: 3권(입법·행정·사법)에 속하지 않는 별도 기관이면서, 재판 형식을 취해 사법에 가깝다고 설명합니다.


✅3. 헌법재판소가 다루는 사건, 실제 예시로 이해하기

  1.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2019) – 형법 조항이 헌법에 맞는지 여부를 판단
  2.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2017) – 국회가 소추한 탄핵 사안을 최종 판단
  3. 검수완박법 권한쟁의심판(2023) – 국회 vs 검찰의 권한 충돌 여부 판단

위 사례는 모두 “법률이 헌법에 부합하는가, 국가기관의 권한이 충돌하는가” 같은 헌법적 분쟁이라 법원이 아닌 헌재 몫입니다.


✅4. ‘사법권’이란 무엇인가?

  • 사법권 = ‘법률 분쟁을 해결할 권한’(헌법 제101조)
  • 일반 분쟁을 다루는 법원에 귀속되는 권한이지만, 헌재도 재판 형식을 빌려 헌법 분쟁을 해결하기 때문에 “사법적 기능”이라고 부릅니다.
  • 따라서 헌재를 **“사법기관은 아니지만 사법 기능을 수행”**한다고 표현합니다.

✅5. 핵심 용어 4줄 요약

  • 재판관 vs 판사
    • 재판관: 헌재 구성원(9인), 임기 6년.
    • 판사: 법원 소속 법관, 정년‧임기 규정 다름.
  • 위헌법률심판: 법률이 헌법을 위반하는지 심사.
  • 헌법소원: 국민이 기본권 침해 당했을 때 구제 신청.
  • 권한쟁의심판: 국가기관·지자체 간 권한 다툼 해결.

✅6. 1분 OX 퀴즈 (수험생 필독)

  1. 헌법재판소는 대법원 소속의 특별법원이다.
    • 독립 헌법기관
  2. 헌법소원은 모든 기본권 침해 사건에 대해 제기할 수 있다.
    • 법원의 재판, 군사재판 등은 제외(헌법재판소법 68조 1항).
  3. 헌재 재판관 9인 중 3인은 국회가 선출한다.
    • 대통령·국회·대법원장이 각 3인씩 추천(헌법 111조).

✅7. 한 줄 정리 & 참고 자료

헌법재판소는 “사법 기능을 수행하지만 사법부에 속하지 않는” 독립 헌법기관이다.

  • 헌법 제101조, 제111조
  • 헌법재판소 공식 누리집 ‘주요 결정’ 코너
  • 대법원 ‘사법연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