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시급제 월급 계산과 세후 급여 산출법 완벽 정리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2025년 시급제 월급 계산과 세후 급여 산출법 완벽 정리

by 와일드인포 2025. 8. 5.

시급 근로자의 월급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점심시간 제외, 주휴수당 포함, 4대 보험과 세금 공제까지 2025년 기준으로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시급제로 근무하는 분들은 “매달 실제 월급이 얼마나 될까?”, “세금을 떼면 얼마가 남을까?”가 항상 궁금합니다.
하지만 점심시간이 유급인지 무급인지, 주휴수당이 포함되는지, 4대 보험 공제를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따라 금액이 크게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급과 주당 근무시간이 주어진 경우를 기준으로, 월급 계산과 세후 금액 산출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합니다.


📑 목차

✅ 1. 근무시간 계산 (점심시간 제외)
✅ 2. 주휴수당 포함 주간 총 근로시간
✅ 3. 월 근무시간 환산과 세전 월급 계산
✅ 4. 4대 보험·세금 공제 후 세후 금액
✅ 5. 계산 시 자주 하는 실수
✅ 6. 세금 줄이는 팁과 급여계산기 활용법


✅ 1. 근무시간 계산 (점심시간 제외)

  • 평일 근무: 1일 총 근무시간에서 점심시간 등 무급휴게시간을 빼고 실제 근로시간 계산
  • 토요일·주말 근무: 점심시간이 없으면 전 시간 근무로 계산
  • 주당 실제 근로시간 = 평일 근로시간 × 평일 근무일수 + 주말 근로시간 × 주말 근무일수

✅ 2. 주휴수당 포함 주간 총 근로시간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주휴수당’ 발생
  • 주휴수당 시간 = 1주 평균 근무시간 ÷ 평일 근무일수 × 1일 근로시간
  • >>> 평일 하루 근로시간이 8시간이면 주휴수당은 8시간 발생합니다.
  • 주휴수당 시간과 실제 근무시간을 합해 주간 총 근로시간 계산

✅ 3. 월 근무시간 환산과 세전 월급 계산

  • 1년은 약 52주 → 연간 근무시간 ÷ 12개월 = 월평균 근무시간
  • 세전 월급 = 시급 × 월평균 근무시간

✅ 4. 4대 보험·세금 공제 후 세후 금액

  • 4대 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공제
  • 세금: 소득세, 지방소득세 공제
  • 부양가족 수, 공제항목에 따라 세후 금액 변동
  • 일반적으로 세전 월급의 약 8~12%가 공제됨

✅ 5. 계산 시 자주 하는 실수

  • 무급휴게시간을 포함해 계산하는 오류
  • 주휴수당을 빼먹는 경우
  • 월 근무시간을 4주로 단순 계산하는 경우(정확히는 52주 기준)
  • 일부 4대 보험 항목을 누락하거나 적용 시기 혼동

✅ 6. 세금 줄이는 팁과 계산기 활용법

  • 연말정산 시 부양가족·보험료·카드사용액 공제 챙기기
  • 온라인 급여계산기(고용노동부·국민연금공단 제공) 활용
  • 시급·근무시간·부양가족 수를 입력하면 세전·세후 자동 계산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