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휴가, 모르면 돈 날린다!|1년차부터 퇴사 시 정산까지 완벽정리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차휴가, 모르면 돈 날린다!|1년차부터 퇴사 시 정산까지 완벽정리

by 와일드인포 2025. 4. 24.

“연차는 당연히 있는 줄 알았는데, 난 왜 못 받았지?”
아르바이트, 정규직, 모두 해당!
연차가 언제 생기고, 어떻게 계산되며, 퇴사 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헷갈리는 연차의 모든 것을 법 기준 + 실제 사례로 완벽정리합니다.

 

 

 

✅ 목차

  1. 연차는 누구에게 생기나? (아르바이트 포함)
  2. 5인 미만 사업장도 연차가 있을까? (법적 적용 범위)
  3. 1년 차 연차 – 매달 1개씩 최대 11개
  4. 2년 차 연차 – 1년 채운 다음 날, 15개 일괄 발생
  5. 3년 차부터는 어떻게 되나? (계속근로자 연차 가산)
  6. 연차수당이란? 실제 사용 vs 수당 차이
  7. 퇴사 시 연차 정산 – 언제 얼마나 받을까?
  8. 자주 하는 질문 정리 (Q&A)
  9. 사례로 보는 연차 적용
  10. 요약표

✅ 1. 연차는 누구에게 생기나?

✔️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모두 포함됩니다.
✔️ 주 15시간 이상, 1개월 이상 일하는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 2. 5인 미만 사업장도 연차가 있을까? (법적 적용 범위)

구분 연차휴가 의무
5인 미만 사업장 ❌ 없음 (단, 사내 규정이나 근로계약서에 따라 인정 가능)
5인 이상 사업장 ✅ 있음 (근로기준법 제60조 의무 적용)
  •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른 연차휴가는 5인 이상 사업장부터 의무 적용됩니다.
  • 5인 미만 사업장은 법적 의무는 없지만, 사내 취업규칙이나 근로계약서에 따라 연차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산도 가능합니다.

근로기준법 60조


✅ 3. 1년 차 연차 – 매달 1개씩 발생 (최대 11개)

  • 입사 첫해에는 월 단위 개근 시 1개씩 발생합니다.
  • 최대 11일 (수습 포함 12개월 중 첫 달 제외)
  • 사용하지 않으면 연차수당으로 정산

📌 예시: 3개월 근무 & 개근 → 연차 3개 발생 가능


✅ 4. 2년 차 연차 – 1년 채운 다음 날, 15개 일괄 발생

  • 입사일 기준 1년을 딱 채운 다음 날, 연차 15개가 한꺼번에 발생합니다.
  • 이 연차는 '앞으로 근무할 것'에 대한 조건이 아닌, 지금까지 1년을 채운 것에 대한 보상 개념입니다.
  • 따라서 하루만 근무하고 퇴사해도 15개 중 미사용분은 전액 수당으로 정산됩니다.

📌 예시:

  • 입사일: 2021.06.12 →
  • 2022.06.13에 15개 연차 발생
  • 1개월 후 퇴사 → 사용한 1개 제외, 14개 수당 정산

✅ 5. 3년 차부터는 어떻게 되나? (계속근로자 연차 가산)

  • 입사 2년이 되는 시점(즉, 3년 차 시작)에도 연차 15일이 다시 일괄 발생합니다.
  • 그리고 **3년 차부터는 2년에 1일씩 추가 연차(가산일 수)**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 예시:

  • 3년 차 (입사 2년 도달 시): 연차 15일 (추가 없음)
  • 5년 차: 연차 16일 (15일 + 가산 1일)
  • 7년 차: 연차 17일 (15일 + 가산 2일)

➡ 가산일 수는 2년에 1일씩, 최대 25일까지 늘어납니다.


✅ 6. 연차수당이란?

  • 연차를 실제로 쓰지 않으면 돈으로 돌려받는 것입니다.
  • 월급에 포함해 연차수당을 주는 경우도 있으며,
    명확히 “연차수당” 항목으로 표기되어야 법적으로 유효합니다.

✔️ 수당 받았다고 해서 반드시 연차를 ‘쓴 것’은 아닙니다.
✔️ 실제 발생한 연차인지, 자동 정액처럼 넣은 건지 구분이 중요합니다.

📌연차청구권과 수당 청구권 구별

  • 연차청구권이 살아 있을 땐 👉 수당 청구 ❌ (쉬는 게 원칙)
  • 연차청구권이 소멸된 후 👉 수당 청구 가능 
  • 회사가 사용 못 하게 했거나, 사용촉진 안 한 경우 👉 수당 청구 가능
  • 예시
    • 2024.03.01 발생 → 2025.03.01부터 수당 청구 가능
    • 2023.07.15 발생 → 2024.07.15부터 수당 청구 가능

📌 핵심: 연차는 "쓰는 게 원칙", 못 썼을 때만 수당 받을 수 있음.


✅ 7. 퇴사 시 연차 정산

  • 연차는 발생했다면 퇴사와 무관하게 수당 지급 대상입니다.
  • 특히 2년 차 이후 연차(15개)는 전년도 근속 완료로 발생한 권리이므로,
    이후 얼마 일했든 미사용분은 전액 지급해야 합니다.

📌 팁: 연차 수당은 통상임금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평균임금 아님)


구분 적용 기준 설명
퇴직금 계산 평균임금 기준 퇴직 직전 3개월 총액 ÷ 재직일수
연차수당 계산 통상임금 기준 매월 정기적으로 고정 지급되는 임금 기준
 
 

✅8. 자주 하는 질문 Q&A

Q. 아르바이트도 연차가 생기나요?
→ ✅ 네. 개근하면 1개월마다 1개씩 발생합니다.

단, 5인 미만 사업장은 법 적용 외이나 관행 또는 계약에 따라 받을 수 있습니다.

Q. 입사 1년 채우고 바로 퇴사해도 15개 다 받을 수 있나요?
→ ✅ 네. 입사 1년을 채운 시점에 이미 발생한 권리이므로 전액 정산 대상입니다.

Q. 3년 차 연차는 언제 생기나요?
→ ✅ 입사 2년을 채운 다음 날, 다시 15개 연차가 발생합니다. 이후 3년 차부터는 2년마다 1개씩 가산됩니다.

Q. 월급에 연차수당이 포함돼 있다고 했는데, 퇴사 시 정산 못 받나요?
→ ⛔ ‘포함됐다’는 말만으로는 불충분. 급여명세서에 명확히 항목 구분되어 있어야 정산된 것으로 인정됩니다.


✅ 9. 사례로 보는 연차 적용

🔸 예시 1. 카페 알바 – 1년 2개월 근무

  • 1년 차 연차 11개 중 5개 사용, 6개 수당 정산
  • 2년 차 연차 15개 발생 중 3개 사용, 12개 수당 정산

🔸 예시 2. 사무직 정규직 – 4년 근무

  • 1년 차 연차 모두 수당 정산
  • 2년 차 연차 15개 중 10개 사용, 5개 정산
  • 3년 차 연차 15개 중 7개 사용, 8개 정산

✅ 10. 연차 요약표 

항목 1년차 연차 2년차 연차 3년차 이후 연차
발생 방식 매월 개근 시 1개씩 입사 1년 후 한 번에 15개 발생 매년 15개 + 2년마다 1일 가산
최대 일수 11일 15일 최대 25일까지 가능
정산 방식 사용 안 하면 수당 정산 사용 안 하면 전액 수당 정산 사용 안 하면 전액 수당 정산

 

 

 

근로휴가, 제대로 알고 쉬자! – 연차부터 병가까지 총정리

근로휴가, 어렵게 느껴지시나요?이 글 하나면 ‘연차휴가 며칠?’ ‘병가도 법에 있나?’ 같은 궁금증이 한 번에 해결됩니다.근로자가 알아야 할 법정휴가와 약정휴가, 그리고 휴일과의 차이까

nikkyoo7.com

 

 

아직도 몰라서 못 받는 알바 퇴직금? 조건·계산법·지급기한까지 총정리! (2025년 최신판)

나는 알바였는데 퇴직금 못 받는 거 아니야?"그렇지 않습니다. 조건을 충족하면 아르바이트생도 퇴직금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산 방법이나 지급 시기를 몰라서 놓치는 경우도 많죠. 이 글

nikkyoo7.com

 

 

5인 미만 사업장 알바, 이건 꼭 알아야 해! 근로기준법 비적용 권리 총정리

카페, 편의점, 식당 등 소규모 사업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당신! 혹시 내가 받을 수 있는 권리가 뭔지 제대로 알고 있나요? 5인 미만 사업장은 근로기준법의 일부 규정이 적용되지 않아, 아르

nikkyoo7.com

 

 

연차, 월차, 반차의 차이는 뭔가요?

연차, 월차, 반차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법적 기준과 회사 관행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해 드립니다. 휴가 사용 시 꼭 알아야 할 내용! “이번에 월차 썼어요.”“반차는 연차에서 빼는 거죠?”일

shs.nikkyoo7.com

 

 

출산휴가·육아휴직 중에도 연차가 생길까?

“출산휴가 중에도 연차가 생기나요?”“육아휴직은 무급인데, 연차는 당연히 없겠죠?”출산이나 육아로 인해 잠시 일을 쉬게 되면,많은 분들이 연차휴가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몰라 손해를 보

shs.nikkyoo7.com

 

 

연차는 언제 소멸되나요?

연차는 사용하지 않으면 사라진다는 말, 사실일까요?연차의 유효기간과 이월 가능 여부, 회사의 연차 촉진제도까지근로기준법 기준으로 정확하게 정리했습니다. 연차는 그냥 안 쓰면 수당으로

shs.nikkyoo7.com

 

반응형